본문으로 바로가기

DME 거리.

category ATC, 항공관제 2016. 10. 24. 17:23

2009년 9월 23일 네이버 블ㄹ그



거리측정장치(DME)는 '당해 시설물과 질의 항공기 간의 직선  거리'를 제공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전파의 이동속도를 감안하여 되돌아온 전파의 도착 시간을 재서 계산하는 거지만.

이 때의 직선 거리는 삼각형의 빗변에 해당하여 사선 거리라고 한다.

즉 이 사선 거리는 항공기를 지상으로 평면 투영했을 때의 거리와는 차이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차이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

그렇다면 그 오차는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보자.

 

(DME 거리는 사선 거리이기 때문에 항공기가 거리를 확인하는 지점에서의 고도를 알아야 한다.)

 

15NM인 지점을 기준으로 판단을 해보자면.

고도 1000'에서는 약 1.67m 정도의 차이가 생긴다.

고도 5000'에서는 약 41.83m 정도의 차이가 생긴다.

약 32,720'에서 약 1852m, 즉 1NM 정도의 차이가 생긴다.

 

거리가 가까워서일까?

40NM인 지점을 기준으로 판단해보자.

고도 1000' - 약 0.62m / 고도 5000' - 약 15.68m / 고도 30,000' - 약 566.51m

약 54,000'에서 약 1,852m, 즉 1NM 정도의 차이가 생긴다.

 

거리가 멀면 당연히 오차가 줄어드는 거였다. -_ - ;;

DME의 사용위치를 생각해보자면, 항로의 이용으로 인한 시설 상공의 통과 시를 제외하고는

DME 거리만으로 위치를 신뢰하기에 충분하다는 이야기이다.

 

덧붙이자면. DME 거리 산출 시의 지상 투영점이 ...

지구 구체의 구배로 인하여 오차가 줄어드는 쪽으로 투영될 거라는 점이다.

이건 그림을 그려놓아야 확실히 이해가 갈테지만... 잘 이해하겠지. =ㅅ=;

 

우선 오늘은 여기까지만!

 

─────────────────────────────────────

1) 네이버백과사전 검색 → http://100.naver.com/100.nhn?docid=52598

그런데 많이 부족해보이는 설명이다. NDB...랑 상관이 있던가... -_ - ;

2) DME ,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3) 위키피디아 검색 → http://en.wikipedia.org/wiki/Distance_Measuring_Equipment

'ATC, 항공관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년 4차 관제사 면장 구술 시험 ...  (0) 2016.10.24
AIP를 읽다가 발견한 수정이 필요한 곳!  (0) 2016.10.24
잡소리  (0) 2016.10.24
헬리패드  (0) 2016.10.24
2011년 7월 20일 오후 12시 29분  (0) 2016.10.24